현미, 보리, 콩, 팥, 수수와 나물 반찬의 조합… 노화 늦추는 효과
콩, 팥… 근육 유지, 뼈 건강, 혈관 보호, 혈압 조절
콩은 갱년기 여성에 특히 좋은 음식이다. 근육에 좋은 단백질이 많고 이소플라본 성분은 여성호르몬(에스트로겐)이 사라지는 갱년기에 골다공증 예방 등 뼈 건강에 큰 도움을 준다. 특히 젊을 때 혈관을 보호하던 에스트로겐이 없어지면 고혈압, 뇌졸중(뇌경색-뇌출혈), 심장병(협심증-심근경색) 등 혈관병 위험이 높아지는데, 콩은 이런 위험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. 질병관리청이 심혈관질환 예방-관리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지목하고 있다.
팥은 혈액을 탁하게 하는 중성지방 조절에 좋은 사포닌과 콜린 함량이 많다. 팥의 칼륨은 몸속 짠 성분(나트륨)이 잘 배출되도록 도와 얼굴-몸의 부기를 빼고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. 다만 신장병 환자나 소화가 잘 안 되는 사람은 잡곡보다 쌀밥을 먹는 게 좋다.
수수, 차조, 찹쌀… 노화 늦추고 노폐물 배출, 소화에 도움
수수는 현미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과 열량이 낮고 단백질, 철, 칼슘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 B 등이 많다. 붉은 수수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 몸의 손상-노화를 늦추는 항산화제가 풍부하다. 차조는 조의 종류로 쌀과 섞어 먹으면 식이섬유와 무기질, 비타민을 보충해 노폐물 배출을 돕고 장을 튼튼하게 해준다. 찹쌀은 소화가 잘 돼 위가 약한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. 삼계탕에 찹쌀을 넣은 이유는 위를 편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곡류이기 때문이다.
시래기, 버섯, 가지 등 나물 반찬… 근육 유지, 뼈 건강, 중성지방 조절
시래기는 무의 잎과 줄기인 무청을 말린 것이다. 시래기 100g은 23㎉로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 4.3g, 단백질 1.58g, 칼슘이 108㎎ 들어 있다(국가표준식품성분표). 체중 감량, 근육 유지, 뼈 건강에 도움이 된다. 시래기 나물, 시래기(된장)국 등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다.
버섯류는 베타글루칸이 많아 혈중 콜레스테롤을 줄이고 체지방이 쌓이는 것을 억제한다. ‘나쁜’ 콜레스테롤(LDL) 수치를 떨어뜨려 고지혈증(이상지질혈증),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이 된다. 가지, 박 등 다양한 나물 반찬을 곁들일 수 있다. 건강을 위해 너무 짜지 않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.